|
|
1. 개요[편집]
농어목 버들붕어과에 속하는 어류 집단의 총칭. 베타라는 이름은 말레이어인 'ikan betah'에서 유래된 것으로 '끈질긴 물고기'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버들붕어와도 유사한 종으로 두 종은 같은 과에 속한다.
2. 상세[편집]
인도차이나 반도와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시아 전역에 분포하며 대략 60여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번식방법에 따라 거품 둥지를 짓는 버블네스트 종과 입에 알을 물고 보호하는 마우스 브리더 종으로 나눌 수 있으며 현재 유통되는 베타는 대부분 개량종이며 베타의 개량은 태국에 분포하는 샴싸움고기를 투기용으로 싸움을 붙인 것이 시초다.
다른 이름으로는 싸움고기(투어; 鬪魚)가 있는데, 이 이름처럼 수컷 베타는 자신의 영역에 들어오는 개체를 위협한다. 이러한 개체를 만나면 온몸의 지느러미와 아가미 뚜껑을 펼쳐 위협하는 행동을 하는데 이를 플레어링(Flaring)이라고 한다. 만약 상대방이 도망을 치지 않는다면 공격까지 하는 사나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몸길이는 성어 기준 5cm 내외이며, 초보자들이 주로 키우기 시작하는 관상어중 하나인데 수컷의 지느러미가 아름다운 것도 한 몫 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생명력이 강하다는 것. 공기호흡이 가능한 라비린스[1]라는 보조 호흡기관을 가지고 있어, 이것으로 수면 위의 공기를 호흡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용기에서 별도의 산소공급 없이도 키울 수 있다. 다만, 공기호흡이 가능하다고 해서 여과기 없이 키우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고 배설물 등 오염 물갈이를 안 하는 실수를 범하지는 말자.
종종 점프를 하는 일이 있어, 컵에 물을 가득 채워서 키우면 주인이 자리를 비운 사이에 컵 밖으로 튀어나와 죽는 참사가 일어나기도 한다. 때문에 컵 밖으로 튀어나올 수 없을 정도로 수위를 조절하거나맥주컵을 쓰거나, 제대로 된 어항이나 수조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
3. 종 보전[편집]
관상용 물고기로 유명하다보니 현지에서 야생 베타를 무분별하게 포획하여 시중에 판매하는 일이 빈번하다. 또한 기름야자나무 재배 때문에 베타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일 또한 발생하고 있다. 시중에 많이 유통되는 샴싸움고기는 야생 개체수가 현저히 줄어들어 IUCN 적색 목록의 취약종(VU)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이미 세 종류의 베타[2]가 심각한 절멸위급종(CR)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베타 토미(B. tomi)라는 종은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서식하고 있는데 이 중 싱가포르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이미 절멸해버렸다.
'베타, bett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베타의 종류와 구분법 (0) | 2018.02.23 |
---|